“치매 초기 치료가 중요한데”…알츠하이머 진단까지 3년이나 걸린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5-09-22 17:36본문
매년 9월21일은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알츠하이머협회(ADI)가 지정한 ‘치매극복의 날’이다. 가족과 사회의 치매 환자 돌봄을 새롭게 인식하고 치매 인식 수준을 개선하자는 취지다.
올해 캠페인 주제는 ‘치매와 알츠하이머에 대해 질문하세요(Ask about dementia, Ask about Alzheimer’s)’다. 여전히 치매를 노화의 정상 과정으로 오해하는 대중(80%)과 의료진(65%)의 낮은 인식 수준을 개선하는 데 목적이 있다.
9월 한 달간 전 세계적으로 세계 알츠하이머의 달 캠페인이 이어졌다. 국내에서도 치매안심센터와 지방자치단체 등이 강연과 캠페인을 준비하며 인식 제고에 나섰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움직임이 치매 예방과 조기 진단, 환자와 가족 돌봄 체계 마련에 있어 중요한 기반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치매는 우리나라 노인들에게 암보다 두려운 질환으로 꼽힌다. 대한치매학회 설문에서도 성인 응답자의 90%가 치매에 대한 두려움에 공감한다고 답했다.
치매는 후천적 뇌질환에 의한 다발성 인지장애가 일상생활의 장애를 일으키는 상태를 뜻한다. 전체 환자의 약 70%는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치매다. 알츠하이머병은 서서히 인지기능이 저하되고 행동장애가 찾아오며 사망에 이를 때까지 병세가 계속 진행되지만, 빠르게 진단해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시작할 경우 뇌 기능의 퇴화를 지연 또는 중단시킬 수 있다.
조진혁 평택우리병원 뇌신경센터 원장은 “알츠하이머병은 진행형 퇴행성 뇌질환으로 초기에 진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우리나라는 알츠하이머병 첫 증상 이후 진단까지 평균 3년 3개월이 걸려 빠른 치료가 어려운 상황인 만큼 최근의 대화나 사건에 대해 기억하지 못하거나 성격 변화가 발생하는 등의 증상이 관찰되면 가까운 치매안심센터나 신경과에 방문해 상담 및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전국적으로 치매안심센터가 구축돼 있어 만 60세 이상 고령층이면 누구나 무료로 치매 선별검사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만 60세 이상의 치매 환자 중 치매치료제를 복용하면서 경제적 어려움으로 치료에 부담을 겪는 경우라면 ‘치매치료관리비 지원서비스’를 통해 치료 관리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치매는 환자 개인을 넘어 가족과 주변인의 돌봄 부담, 사회경제적 비용도 크다. 2023년 기준 치매 환자 1인당 연간 관리비용은 약 2639만원이다. 지난해 65세 이상 추정 치매 환자에 소요되는 국가치매관리비용은 약 24조6000억원으로 조사됐다.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국가 치매관리비용은 2070년 약 215조2000억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같은 사회경제적 부담을 줄이려면 조기 약물치료가 중요하다. 초기에 약물치료를 진행하면 질병의 경과를 늦춰 요양시설 입소를 지연시키는 등 사회경제적 비용 절감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치매를 조기에 발견해 치료를 시작할 경우 향후 8년간 6300만 원을 절감할 수 있고, 5년 후 요양시설 입소율은 5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 치료에 사용되는 콜린분해효소 억제제 등은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유지와 인지기능 개선 효과가 입증됐다. 최근에는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단백질인 베타아밀로이드 축적을 직접 억제하는 ‘질병조절치료제(DMT)’도 국내에 허가돼 초기 환자 치료에 활발히 쓰이고 있다.
이 치료제는 알츠하이머병 초기 환자에서 인지기능 저하 속도를 약 27% 늦춘 것으로 확인됐다. 질환의 근본적 진행을 지연시키는 첫 치료 옵션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만 정맥주사 투여와 MRI 추적검사 등 관리가 필요해 전문 의료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다.
조 원장은 “알츠하이머병은 조기 약물치료를 통해 질환의 진행을 지연시키거나 중단시킬 수 있고 인지 훈련, 행동 치료 등 비약물 치료를 함께 진행할 경우 환자와 가족의 부담까지 낮출 수 있다”며 “각 지역별로 치매 환자를 위한 거점병원이 잘 마련돼 있는 만큼 거주지와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치료를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지희 기자(kim.jeehee@mk.co.kr)
올해 캠페인 주제는 ‘치매와 알츠하이머에 대해 질문하세요(Ask about dementia, Ask about Alzheimer’s)’다. 여전히 치매를 노화의 정상 과정으로 오해하는 대중(80%)과 의료진(65%)의 낮은 인식 수준을 개선하는 데 목적이 있다.
9월 한 달간 전 세계적으로 세계 알츠하이머의 달 캠페인이 이어졌다. 국내에서도 치매안심센터와 지방자치단체 등이 강연과 캠페인을 준비하며 인식 제고에 나섰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움직임이 치매 예방과 조기 진단, 환자와 가족 돌봄 체계 마련에 있어 중요한 기반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치매는 우리나라 노인들에게 암보다 두려운 질환으로 꼽힌다. 대한치매학회 설문에서도 성인 응답자의 90%가 치매에 대한 두려움에 공감한다고 답했다.
치매는 후천적 뇌질환에 의한 다발성 인지장애가 일상생활의 장애를 일으키는 상태를 뜻한다. 전체 환자의 약 70%는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치매다. 알츠하이머병은 서서히 인지기능이 저하되고 행동장애가 찾아오며 사망에 이를 때까지 병세가 계속 진행되지만, 빠르게 진단해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시작할 경우 뇌 기능의 퇴화를 지연 또는 중단시킬 수 있다.
조진혁 평택우리병원 뇌신경센터 원장은 “알츠하이머병은 진행형 퇴행성 뇌질환으로 초기에 진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우리나라는 알츠하이머병 첫 증상 이후 진단까지 평균 3년 3개월이 걸려 빠른 치료가 어려운 상황인 만큼 최근의 대화나 사건에 대해 기억하지 못하거나 성격 변화가 발생하는 등의 증상이 관찰되면 가까운 치매안심센터나 신경과에 방문해 상담 및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전국적으로 치매안심센터가 구축돼 있어 만 60세 이상 고령층이면 누구나 무료로 치매 선별검사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만 60세 이상의 치매 환자 중 치매치료제를 복용하면서 경제적 어려움으로 치료에 부담을 겪는 경우라면 ‘치매치료관리비 지원서비스’를 통해 치료 관리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치매는 환자 개인을 넘어 가족과 주변인의 돌봄 부담, 사회경제적 비용도 크다. 2023년 기준 치매 환자 1인당 연간 관리비용은 약 2639만원이다. 지난해 65세 이상 추정 치매 환자에 소요되는 국가치매관리비용은 약 24조6000억원으로 조사됐다.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국가 치매관리비용은 2070년 약 215조2000억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같은 사회경제적 부담을 줄이려면 조기 약물치료가 중요하다. 초기에 약물치료를 진행하면 질병의 경과를 늦춰 요양시설 입소를 지연시키는 등 사회경제적 비용 절감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치매를 조기에 발견해 치료를 시작할 경우 향후 8년간 6300만 원을 절감할 수 있고, 5년 후 요양시설 입소율은 5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 치료에 사용되는 콜린분해효소 억제제 등은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유지와 인지기능 개선 효과가 입증됐다. 최근에는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단백질인 베타아밀로이드 축적을 직접 억제하는 ‘질병조절치료제(DMT)’도 국내에 허가돼 초기 환자 치료에 활발히 쓰이고 있다.
이 치료제는 알츠하이머병 초기 환자에서 인지기능 저하 속도를 약 27% 늦춘 것으로 확인됐다. 질환의 근본적 진행을 지연시키는 첫 치료 옵션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만 정맥주사 투여와 MRI 추적검사 등 관리가 필요해 전문 의료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다.
조 원장은 “알츠하이머병은 조기 약물치료를 통해 질환의 진행을 지연시키거나 중단시킬 수 있고 인지 훈련, 행동 치료 등 비약물 치료를 함께 진행할 경우 환자와 가족의 부담까지 낮출 수 있다”며 “각 지역별로 치매 환자를 위한 거점병원이 잘 마련돼 있는 만큼 거주지와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치료를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지희 기자(kim.jeehee@mk.co.kr)
- 다음글숨 쉬듯 마시는 ‘이것’이 알츠하이머 진행 악화시킨다 25.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