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노인 가족은 울고싶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부평행복의집 작성일 12-09-05 17:19본문
정부가 지난 2월부터 ‘치매관리법’을 시행하는 등 ‘치매와의 전쟁’을 선포했지만, 노인 치매 유병률이 전국 최고 수준인 광주·전남지역에는 권역별 치매센터가 단 한 곳도 지정되지 않아 치매 환자 및 보호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특히 치매는 예방과 치료가 우선되어야 하는데도 정부는 치매로 확정된 환자에 대한 약값 지원과 각 보건소를 통한 방문보건사업에 대한 지원에만 그치고 있고, 전문 인력도 턱없이 부족해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치매 예방 및 치료·관리 시스템 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4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올해 광주·전남지역 65세 이상 노인 치매 환자는 4만900여명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치매 유병률은 9.5%로 전국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 치매 노인 53만4000명의 9.17%에 해당하며, 전국 치매 유병률 평균 9.1%에 비해 0.4%포인트 높은 수치다.
특히 광주와 전남 인구 중 노인 인구가 다른 지역에 비해 많은데다 노령화까지 가속화되면서 치매환자 수가 2025년엔 7만8000명, 2050년에는 16만8000명으로 급증하고, 치매 유병률 또한 13.9%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하지만, 국가 치매관리사업의 컨트롤 타워인 권역별 치매센터가 광주·전남에는 설립되지 않아 지역민에 대한 치매 예방 및 치료·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정부는 치매관리 강화를 위해 지난 5월 지역 거점병원과 권역 치매센터 선정에 이어 이를 총괄할 중앙치매센터를 지정했다.
분당 서울대병원이 중앙치매센터로 지정됐고, 강원대·충남대·전북대·경북대 병원 등 4개의 권역 치매센터와 7개 공립요양병원의 컨트롤 타워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광주·전남지역에는 전남대병원 및 보건소와 협약한 병원 등 23개 지역 거점병원만 선정됐을 뿐 권역 치매센터는 선정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지역 내 치매환자와 보호자들이 권역 치매센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전북대병원을 이용하는 번거로움을 겪어야 한다.
또 전남은 22개 시·군 중 18개에만 거점 병원이 지정돼 4개 시·군 주민들이 다른 지역의 병원을 방문해야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광주시는 각 자치구별로 치매상담센터가 운영되고 있지만, 전문 상담원이 아닌 간호사 등 직원들이 다른 업무와 함께 담당하고 있어 전문인력 확충을 통해 조기 검진율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광주시 관계자는 “내년에 권역 치매센터 선정에 재도전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지만, 예산반영이 이뤄질 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광주시는 내년부터 65세 이상 시민 2000명에 대해 MRI 촬영 등 정밀 뇌기능검사를 통한 치매 조기검진(무료)을 위해 지난 3일 광주과학기술원 바이오광학영상센터, 조선대병원 등과 협약을 체결했다.
특히 치매는 예방과 치료가 우선되어야 하는데도 정부는 치매로 확정된 환자에 대한 약값 지원과 각 보건소를 통한 방문보건사업에 대한 지원에만 그치고 있고, 전문 인력도 턱없이 부족해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치매 예방 및 치료·관리 시스템 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4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올해 광주·전남지역 65세 이상 노인 치매 환자는 4만900여명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치매 유병률은 9.5%로 전국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 치매 노인 53만4000명의 9.17%에 해당하며, 전국 치매 유병률 평균 9.1%에 비해 0.4%포인트 높은 수치다.
특히 광주와 전남 인구 중 노인 인구가 다른 지역에 비해 많은데다 노령화까지 가속화되면서 치매환자 수가 2025년엔 7만8000명, 2050년에는 16만8000명으로 급증하고, 치매 유병률 또한 13.9%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하지만, 국가 치매관리사업의 컨트롤 타워인 권역별 치매센터가 광주·전남에는 설립되지 않아 지역민에 대한 치매 예방 및 치료·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정부는 치매관리 강화를 위해 지난 5월 지역 거점병원과 권역 치매센터 선정에 이어 이를 총괄할 중앙치매센터를 지정했다.
분당 서울대병원이 중앙치매센터로 지정됐고, 강원대·충남대·전북대·경북대 병원 등 4개의 권역 치매센터와 7개 공립요양병원의 컨트롤 타워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광주·전남지역에는 전남대병원 및 보건소와 협약한 병원 등 23개 지역 거점병원만 선정됐을 뿐 권역 치매센터는 선정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지역 내 치매환자와 보호자들이 권역 치매센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전북대병원을 이용하는 번거로움을 겪어야 한다.
또 전남은 22개 시·군 중 18개에만 거점 병원이 지정돼 4개 시·군 주민들이 다른 지역의 병원을 방문해야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광주시는 각 자치구별로 치매상담센터가 운영되고 있지만, 전문 상담원이 아닌 간호사 등 직원들이 다른 업무와 함께 담당하고 있어 전문인력 확충을 통해 조기 검진율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광주시 관계자는 “내년에 권역 치매센터 선정에 재도전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지만, 예산반영이 이뤄질 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광주시는 내년부터 65세 이상 시민 2000명에 대해 MRI 촬영 등 정밀 뇌기능검사를 통한 치매 조기검진(무료)을 위해 지난 3일 광주과학기술원 바이오광학영상센터, 조선대병원 등과 협약을 체결했다.
- 이전글40~50代 중년 10명중 8명 머릿속엔 이미 `치매 싹` 12.09.05
- 다음글LG유플러스, 국내 최초 치매 예방 솔루션'브레인 닥터'독점 공급 12.09.05